티스토리 뷰
유목을 넣고 다음 날
어항이 탁해졌다. 보통 탁한 게 아니었다. 생이새우도 몇 마리 사망했다. 구피는 잘 살아있었다. 슬러지가 이렇게 만든 것 같다. 급하게 구피를 다른 어항에 옮기고 50% 환수를 했다. 그래도 굉장히 탁했다. 분명 구매한 사이트에서 한 번 헹구고 넣으랬다. 수습하느라 땀이 흘렀다.
돌이켰다
현재는 어항물이 맑다. 그 난리가 났던 날, 많은 검색을 해봤다. 생이새우가 슬러지를 다 커버할 정도가 아니었다. 생이새우를 구피 어항에 바로 옮기고 수초랑 모스는 꺼내서 헹궈뒀다.
반응형
유목 3개 모두 꺼내서 미끌미끌한 슬러지가 만져지지 않을 때까지 씻었다. 큰 통에 물을 담아 담기게 담갔다. 어항 자체도 굉장히 미끄러웠다. 여과기가 없어서 상태가 심했던 것 같다.
하루에 2~3번씩 유목을 씻었다. 3일간 내내 했다. 칫솔로 빡빡 닦았다. 다시 물에 담가놓을 때는 뜨겁게 끓인 물을 이용했다. 2일 차부터 만져지는 슬러지가 적어졌고 담가놓는 통도 미끌거리지 않았다.
반응형
4일 차에 만져지는 슬러지가 더 줄었다. 하나를 어항에 넣어보기로 했다. 넣기 전에 칫솔질 또 했다. 구피와 리시아 모스 활착이 있는 상태에서 유목을 넣었고 그 뒤에 생이새우를 넣었다. 포란한 생이새우는 보류했다.
반응형
어항이 돌아왔다. 며칠이 지나도 어항이 맑았다. 생이새우가 수초 검정말보다 유목을 좋아한다. 유목 세척 과정이 굉장히 중요하다는걸 깨달았다. 폐사하는 줄 알고 놀랐다.
'일상 > 어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자주 발견하는 블루벨벳새우 치하 (0) | 2020.10.12 |
---|---|
블루벨벳 새우를 쪼아대는 구피 (0) | 2020.09.10 |
블루벨벳 생이새우가 왔다, 치비도 왔다 (0) | 2020.08.23 |
무여과 어항에 유목을 하나 더 넣었다 (0) | 2020.08.08 |
무여과 어항에 유목을 넣다 (0) | 2020.08.04 |
유목이 도착했다 (0) | 2020.07.31 |
포란한 생이새우를 치어통에 격리하다 (0) | 2020.07.27 |
생이새우를 위한 모스볼, 리시아 모스 활착 (0) | 2020.07.23 |